여러 블로그 서비스 중에서 블로그를 어디서 운영하는게 좋을까? 라는 질문은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는 경우에도 중요하지만, 이미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고 해도 한 번쯤 생각해 볼 만한 질문이다. 장기적으로 봤을때 더 나은 곳이 있다면 몇 일간 클릭질을 해서라도 그간 올린 글을 퍼다 나를 만한 가치는 충분히 있다.
지난번에 올린 badaro...: 블로그로 꼭 수익성을 쫓진 않더라도.. 수익에 대한 관심은 ...에서
생각했던대로 네이버, 다음, 티스토리, 블로거 4곳에 같은 글을 올리고 방문자수를 살펴본지 한달이 넘었고, 관리 기능들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살펴봤다.
네이버에 처음 글을 퍼다 나르고 나서 방문자가 몇 백이길래 "역시 네이버 구나" 했더니..
그건 글을 붙여 넣느라 내가 방문한 숫자가 포함되서 그랬던 것이었고 -_-;
그 후 한달 동안 각 블로그마다 하루 약 50명정도의 방문자 수가 유입되었고 페이지 뷰는 60정도 였다.
여기서 방문자 수나 글의 질은 큰 의미가 없다. 같은 글을 같은 시기에 올렸고, 혹시 특정 검색엔진과 연관된 블로그에 방문자 유입이 더 많이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결론은 검색엔진과 같은 회사의 블로그라고해서 방문자 유입이 더 일어나지 않는다.
(이웃기능이나 맞추천, 카페 연동기능은 감안하지 않음)
네이버 블로그라고 해서 네이버 검색엔진에서의 유입이 큰편도 아니고 다음 블로그의 경우도 마찬가지 였기 때문에, 방문자 유입을 위해 궂이 검색엔진이 있는 포털 블로그까지 운영할 이유는 없는것 같다.
운영중인 블로그를 네이버와 다음 검색엔진에 등록 하는 것만으로도 검색엔진에 따른 방문자수 차이에 대한 고민은 충분히 해결 가능한걸로 보인다.
네이버(section.blog.naver.com), 다음(blog.daum.net), 티스토리(www.tistory.com), 블로거(www.blogger.com) 모두 나름대로 장점이 있고 사실 어디서 블로그를 시작하더라도 별반 차이는 없지만, 재미삼아 시작했더라도 블로그를 장기간 운영하다보면 광고를 통한 수익까지 고려하게 될 상황이 올 수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 연결을 지원하는 대신 외부 광고를 제약하는 네이버, 다음 보다는 외부 광고에 제약이 없는 티스토리와 블로거를 추천한다.
티스토리와 블로거 중 에서는.. 가입이 번거롭고 약간 복잡해 보이는 기능의 티스토리 보다는 딱 필요한 기능을 갖고 있으면서 필요할 기능을 늘려 나갈 수 있는 블로거를 추천한다.